'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4

분당 정자동 유명 베트남 쌀국수 음식점: 몬안베띠

최근에 생긴 베트남 쌀국수 음식점 몬안베띠를 갔다. 네이버 myplace 설명에 따르면 몬안베띠는 베트남어로 '요리'와 프랑스어 '맛있게 드세요'의 합성어라고 한다. 어학 사전을 통해 요리라는 뜻을 가진 món ăn 이라는 단어를 찾을 수 있었다. 베띠는 아마 Bon appétit! 의 발음에서 따온 것 같다. 본점은 서울 서초동에 있고 지금까지는 분당 정자동이 유일한 지점이다. 입구부터 창까지 모두 유리로 되어 있어서 안이 투명하게 다 보인다. 카페 감성..? 오후 1시에 갔는데 웨이팅이 있지는 않았지만 꽉 차 있었다. 입구 근처에는 메뉴판이 붙어있다. 쌀국수 위주로 판매하는 것 같다. 안에는 신기하게도 테이블마다 태블릿이 배치되어 있다. 태블릿으로 셀프 결제하면 주문이 자동으로 되는 시스템이다. 소스..

방향 코사인: 공간에서 코사인 제곱의 합은 1?

OA=a, OB=b, OC=c 라고 하겠습니다. 또, OD와 x축이 이루는 각도는 θ_{1}, OD와 y축이 이루는 각도는 θ_{2}, OD와 z축이 이루는 각도는 θ_{3}라고 가정합니다. 이때 코사인 제곱의 합이 1임을 증명하겠습니다. 우선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통해 OD의 길이를 구해보겠습니다. △ OAD를 보면 ∠ OAD = 90º이고 선분 OD가 빗변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선 정의에 따라 ∠ DOA= θ_{1} 입니다. △ OBD를 보면 ∠ OBD = 90º이고 선분 OD가 빗변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선 정의에 따라 ∠ DOB= θ_{2} 입니다. △ OCD를 보면 ∠ OCD = 90º이고 선분 OD가 빗변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선 정의에 따라 ∠ DOC= θ_{3} 입니다. 이를..

학문/수학 2022.02.15

초보자도 쉽게 갈 수 있는 수원 광교산 형제봉 등산

◆ 등산코스: 반딧불이 화장실 → 형제봉(448m) ◆ 날씨: 약간 흐림 ◆ 계절: 겨울(2월) ◆ 소요시간: 왕복 3시간 ◆ 준비물: 물 반딧불이 화장실에서 등산을 시작했다. 화장실 시설이 매우 좋다.. 뒤에 보이는 흰 부분이 광교 저수지이다. 날씨 때문에 얼어 있다. 경기대학교와도 연결되어있는 것 같다. 중간에 이런 이정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이정표가 보이면 거의 다 도착한 것이다. 하지만 지금부터가 제일 힘들다. 죽음의 438 계단 438 계단을 모두 오른 후의 모습이다. 정상에서 내려본 모습이다. 미세먼지 때문인지 조금은 흐리다. 오늘의 베스트 컷이다. 초보자이기에 형제봉까지만 등반했다. 경치가 좋아서 나중에 다시 오지 않을까싶다.

일상/취미 2022.02.13

X선의 보강간섭, X선 회절을 사용하는 이유, X선 회절의 장점과 활용

1. 보강 간섭과 상쇄 간섭 서로 다른 파동들은 서로 합쳐져서 새로운 하나의 파동이 됩니다. 만약 위상이 정확히 같은 2개의 파동이 합쳐진다면 파장은 같고 진폭이 2배인 파동이 되는 것이죠. 이런 경우를 보강 간섭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파동의 위상이 정확히 반 파장 정도 차이가 난다면 일자 모양이 됩니다. 이런 경우를 상쇄 간섭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를 더 일반화해봅시다. 보강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는 위상차가 파장의 정수배 (λ, 2λ, 3λ, ···)인 경우입니다. 또, 상쇄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는 위상차가 반 파장의 정수배 (0.5λ, 1.5λ, 2.5λ, ···)인 경우입니다. 2. 원자에 X선을 비추면? X선을 원자에 비추면 어떻게 될까요? 일단 전자가 그 에너지를 모두 흡수합니다. 만약 그 세기..

학문/결정학 2022.02.12

평행 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 삼중적

3개의 벡터로 구성된 평행 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평행 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은 밑면의 넓이 * 높이입니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지금부터 밑면의 넓이 * 높이가 어떻게 위 식처럼 바뀌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위 사진은 평행 육면체의 밑면만을 그린 그림입니다. 사각형 OACB의 넓이는 밑변 * 높이로 구할 수 있습니다. OA의 길이는 벡터 a의 크기와 같습니다. 또 CH의 길이는 벡터 b의 크기에 sinθ를 곱한 값과 같습니다. 즉, 사각형 OACB의 넓이는 a벡터와 b벡터의 외적값과 같습니다. 이제 평행 육면체의 높이를 구해봅시다. c 벡터와 z축이 이루는 각도를 α라고 하겠습니다. 이때 평행 육면체의 높이에 해당하는 OE의 길이는 c 벡터의 크기에 c..

학문/수학 2022.02.10

워드프로세서 실기 독학 후기 - 준비물, 책, 공부 방법, 준비 기간, 단축키, 꿀팁

2020년에 합격한 필기가 만료되기 이전에 급하게 실기 시험을 준비했다. 성남상공회의소에서 한글 2020 프로그램으로 총 2번의 시험을 봤는데 모두 합격했다. 워드 실기 시험에 대한 후기를 간단히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1. 준비물 ※ 대학교 학생증이나 모바일을 통한 신분 증명은 허용되지 않으니 유의해야 한다.준비물은 신분증과 수험표이다. 2. 책 나는 2020 시나공 워드프로세서 실기 책을 사용했다. 2020년에 필기를 합격한 이후에 실기 책까지 같이 샀기 때문이다. 기왕이면 해당 연도에 알맞은 책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2020 버전으로도 공부를 할 수는 있었다... 채점 프로그램을 통해서 실력을 많이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책을 구매해서 자동 채점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3. 공부 방법..

뉴욕 타임스에서 인수한 워들(wordle) 게임, 알고 계신가요?

뉴욕 타임스에서 워들을 인수했다는 기사가 2월 초에 나왔습니다. 예상 가격은 최소 100만 달러라고 하는데요..! 워들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봅시다. 1. 워들(Wordle)이란? 영어 단어 맞추기 게임에 숫자 야구를 결합한 느낌입니다. 게임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오늘은 연장자를 뜻하는 elder가 정답입니다! 2. 워들의 규칙 - 제시어(정답)는 총 5글자입니다. - 정답을 입력할 수 있는 기회가 총 6번 있습니다. - 단어에 없는 철자는 회색, 단어에 포함되지만 위치가 다르면 노란색, 단어에 포함되면서 위치까지 맞으면 초록색으로 표시됩니다. - 사전에 없는 단어는 입력이 되지 않습니다. 3. 워들의 특징 - 웹 기반으로 운영하여 다운로드가 필요 없습니다. - 현재 무료로 운영중입니다. - 하루에 1..

시사/경제 2022.02.07

결정학) 역격자 벡터의 정의와 성질

1. 역격자 기저 벡터(basis vector) 결정 격자의 기저 벡터를 a_{i} 그리고 역격자의 기저 벡터를 a_{j}* 라고 표시하겠습니다. 기저 벡터는 단위 벡터와 다르게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습니다. 위 식을 만족하는 벡터 a_{j}*를 역격자 기저 벡터라고 정의합니다. 벡터의 삼중적과 역격자 기저 벡터의 정의를 활용해서 역격자를 다르게 표현하겠습니다. 벡터 a_{2}*와 a_{3}*에 대해서도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아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역격자 벡터의 성질 g는 역격자 벡터입니다. 역격자 벡터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역격자 벡터의 성질을 1과 2에 나타냈습니다. 결정 격자에서의 (hkl)이 평면이었다면 역격자에서는 (hkl)이 점으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서..

학문/결정학 2022.02.05

주민등록번호의 숨겨진 원리(성별, 지역, 마지막 번호)와 현재 부여체계

누구나 가지고 있는 주민등록번호는 임의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주민등록번호 앞자리만 봐도 앞 6자리는 생년월일을 나타내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 ※ 2020년에 주민등록번호 부여체계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이와 관련된 이야기는 후술하겠습니다. 앞으로 편의상 주민등록번호를 ㄱㄴㄷㄹㅁㅂ-abcdefg라고 지칭하겠습니다. 1. 주민등록번호와 성별 번호 정보 1 1900 ~ 1999년에 태어난 남성 2 1900 ~ 1999년에 태어난 여성 3 2000 ~ 2099년에 태어난 남성 4 2000 ~ 2099년에 태어난 여성 9 1800 ~ 1899년에 태어난 남성 0 1800 ~ 1899년에 태어난 여성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에서 'a'를 보면 성별에 대한 정보를 얻..

일상 정보 2022.02.04

결정학) 결정 구조의 밀도 계산과 선밀도와 면밀도

1. 결정 구조에서 밀도 계산 밀도의 정의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밀도=질량/부피입니다. 즉, 밀도를 알기 위해서는 부피와 질량을 알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부피와 질량은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부피와 질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결정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정 구조가 주어진다면 (1)원자의 반지름과 단위정 부피의 관계 그리고 (2)결정 구조 안에 들어 있는 원자의 개수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1)원자의 반지름과 단위정 부피의 관계와 원자 반지름을 안다면 단위정의 부피를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CC구조의 부피는 V= 16√2×R^3입니다. 여기에 R 값만 안다면 부피를 구할 수 있는 것이죠. 또 (2)결정 구조 안에 들어 있는 원자의 개수는 질량을 구하는 것에 큰 역할을 합니다. 단..

학문/결정학 2022.02.02
반응형